커넥션과 포트 번호

4계층은 신뢰성이 높은 전송을 수행한다.

확인 응답/흐름제어를 수행하고 ,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 전송을 실시한다.

어느 애플리케이션에 도달할지를 판별하기 위해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

4계층은 TCP와 UDP 두 가지 프로토콜이 있으며, 둘 중 한 개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TCP에서 데이터 전송에는 커넥션 확립이 필요하다.

커넥션은 가상의 통로다.

커넥션의 확립은 쓰리웨이 핸드쉐이크 방식으로 수행한다.

큰 데이터는 MSS 사이즈로 데이터를 분할한다. 각각을 세그먼트라고 한다.

윈도우 제어 확인 응답을 보낼 때는 확인응답 번호에 다음에 수신 받을 데이터의 번호를 받는다.

전송에러가 발생했을 떄에는 지금 보낸 것과 같은 데이터를 보낸다.

TCP는 윈도우 제어라는 구조로 버퍼 플로를 방지한다.

상대방의 버퍼사이즈 = 윈도우 사이즈를 확인하면서 송수신을 수행함.

포트 번호를 사용한 송수신: 어느 애플리케이션에서 어느 애플리케이션으로 수신할지를 결정한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