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교실 정리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컴퓨터 네트워크는 패킷 교환 방식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해서 송신하기 때문에 회선이 점유되지 않아서 다수의 기기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구조
실제 네트워크에서 라우터라는 기기가 패킷 교환기 역할을 함
라우터에 의한 패킷 교환이 아닌 회선을 나누어서 연결하는 범위를 세그먼트라고 한다. 이 범위 내의 컴퓨터끼리라면 라우터가 없어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케이블 분배기로 연결되는 범위를 세그먼트 Segment라고 한다.
케이블에 T자 분배기를 만들려면 케이블을 잘라 T자 분배기를 끼우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요즘은 Hub라는 기기를 사용한다. 허브를 사용한 네트워크에서는 컴퓨터 한 대 가 세그먼트 내의 어떤 컴퓨터에도 자유롭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런 네트워크 구조를 멀티액세스 네트워크라고 한다.
멀티 액세스 네트워크와 포인트 투 포인트 네트워크를 조합해서 네트워크 전체가 만들어진다.
LAN : 지역적으로 좁은 범위에서 본인이 책임지고 구축하는 네트워크
WAN : 통신사업자의 서비스를 통해 떨어져 있는 지역의 LAN을 연결한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은 OSI 참조 모델에 의한 '단계와 순서'로 이해한다.
OSI 참조 모델은 일곱개의 계층(Layer)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은 독립해 있다.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을 위해 일하고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 대해 관여하지 않는다.
Last updated